화물연대 파업을 보면서
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자는 무조건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취득하기를 원하며, 자본가는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인건비를 최대한 억제하려 한다. 이 사이에 끼인 노동자는 자칫 압착기에 최후의 한 방울까지 즙이 짜이는 오렌지 신세가 되기 십상이다. 자본주의의 큰 문제점 중 하나는 모든 것이 상품화되어 화폐로 거래되는 과정에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 이의 노동이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. 소비자의 편의와 자본가의 이윤이 노동자의 일방적 희생에 기대고 있다면, 과연 그것이 정당하고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을까? 당장 우리의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,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한 주체들을 없는 사람 취급해서야 되겠는가. 화물연대가 파업을 하니 기득권 세력들은 경제에 큰 악영향이 예상된다며 난리법석이..